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사랑해요!중구효월드

뿌리공원

세계 孝 중심지를 향한 첫 발, 여기는 효!월드입니다.

성씨유래검색

역사적인물 관리 상세
역사적인물 관리 상세 테이블입니다. 프로그램명, 운영기간, 운영시간, 운영인원, 운영장소, 운영요금, 운영여부, 비고 정보를 안내합니다.
성씨 감(甘) 문중 회산(檜山)
유래

조선씨족통보 기록에 의하면, 회산감씨는 발해 주왕(周王)의 셋째아들 숙대(叔帶)가 감후(甘侯)에 봉해져, 나라이름을 따서 감씨(甘氏)의 성을 삼았다고 한다. 우리나라 감씨(甘氏)시조는 감규(甘揆:호 연강,자 양원)이다.시조 감규는 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고려때 문신가운데 뽑힌 뛰어난 학자로서 한림원.수문전등의 종2품,정4품으로 왕에게 경서를 강론함)로서,1351년(충정왕3)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를 배종(陪從:지체높은 사람을 모심)하고, 고려에 들어와 우리나라에 정착하였다고 하며, 고려조에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내사문하성의 정2품 부총리)에 올랐다. 후에 연릉군(延陵君)에 봉해졌으며,15대 후손인 감수화(甘受和)에 이르기까지 연릉을 본관으로 삼았다. 그 뒤 16세손인 감철(甘喆)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고려때 문관의 종2품 품계)에 오르고,회산군(檜山君)에 봉해지면서 본관을 회산(檜山)으로 바꾸었다.한편 1351년에 시조 감규와 함께 들어온 공소(孔紹).장경(張敬).황보영(皇甫榮).독고억(獨孤億) .서문씨(西門氏).남궁씨(南宮氏).변숙(邊肅)등도 태학사(太學士:대제학)들이라 한다. 기록에 보면 회산군 감철제단비문(檜山君 甘喆祭壇碑文)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감씨(甘氏)의 세거지는 창원인데,본래 중국에서 들어와 조선개국초에 번성하였으며, 나라에 공을 세워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져, 자손들이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 회산(檜山)은 지금의 창원(昌原)이다.감씨(甘氏)는 시조의 15세손 감수화(甘受和)때까지 본관을 연릉(延陵)으로 삼아오다가,16세손 감철(甘喆)이 북벌을 간(諫)하여 중지하게 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종2품 품계)에 오르고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진 이후로 본관을 회산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병진보(丙辰譜) 서문에 보면, 우리나라 감씨(甘氏)가 합포(合浦).충주(忠州).거창(居昌).창녕(昌寧).부녕(富寧)등 5본이 있다는 설이 있지만, 이는 세거지명이라고 하며 감씨(甘氏)는 회산(檜山)단일본이다.회산은 지금의 경남 창원이다. 그래서 회산감씨는 창원감씨라고도 하며, 2000년 현재 회산감씨(창원감씨) 인구는 2,685명이다.회산감씨는 시조 감규때부터 고려조에서 훌륭한 인물을 많이 배출시켜, 세도가문으로서의 지위를 굳혔다.고려평장사(平章事:정2품부총리) 연릉군(延陵君) 감규신도제단비명(甘揆神道祭壇碑銘)에는, "감규는 중국 노(魯)의 학사(學士)로 우리나라에 왔는데, 본래 노(魯)나라는 군자(君子)가 많았는데 우리나라 역시 군자(君子)의 나라여서 그는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인지 그의 후손중에는 학자 출신의 관환(官宦:관료)이 많다. 예를 들면 대보국(大輔國) 감식이나,감규의 손자 감흥협(甘興鋏)은 평장사(平章事:중서문하성의 정2품 부총리)를 지냈고, 역시 평장사를 거쳐 충경(忠敬)으로 시호(諡號)된 감붕후(甘棚厚)도 모두 학자 출신이었다.감철의는 이부상서(吏部尙書:정3품 장관)를 역임했다. 감소연(甘紹延)은 밀직제학(密直提學:정령을 출납하고 궁중의 숙위를 맡아하던 밀직사의 정3품)을 지냈으며, 감진요(甘震曜)는 중추부사(中樞府事:왕명을 출납하던 중추부의 종2품)에 이르렀다. 감침(甘鍼)과 감전형(甘全亨)은 각각 이부시랑(吏部侍郞:고려 때 육부와 육조의 차관에 해당하는 정4품)을 역임하여 가문을 빛냈다. 겸재(謙齋) 감흔(甘昕)의 아들 감경무(甘景茂)는 진사(進士,초시에 급제한 선비)로 호를 둔엄(遯庵)이라 하였는데,덕행과 문장(文章)으로 세상에 알려졌으며, '화산향안(花山鄕案)'을 만든 장본인이다.그는 퇴계(退溪) 이황의 문하(門下)에서 수학하였다. 감덕후(甘德厚)와 감종택(甘鍾澤) 역시 문행(文行)이 뛰어났다고 문헌비고(文獻備考)에 기록되어있다.조선시대에는 회산군 감철의 손자로 승지(承旨:정3품 당상관)를 지낸 감원한(甘元漢)과 이조참의(參議:정3품차관보)에 오른 감익한(甘益漢) 형제가 뛰어났다. 특히 감익한은 1455년 사육신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화를 입었다.감익한(甘益漢)은 예부승지로 집현전에 있을 때,단종손위(端宗遜位)를 맞아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 등 사육신의 참화를 입을때, 그도 모진 고문을 겪고 폐인이 되어 세상을 마친 충절(忠節)의 인물이었다. <김진우(한국성씨연구소장)의 "한국인의 역사"에서 발췌>